[자료구조] 그래프(Graph)란?
·
CS/자료구조(data structure)
개요그래프는 어떤 데이터 사이의 인접한 정보를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트리(Tree)도 그래프의 한 종류이다.Objects와 Relationship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Object는 저장하고자 하는 객체를 의미하며 Relationship은 객체와의 관계성을 의미한다.Undirected Graphsundirected graph는 방향이 없는 그래프를 의미한다.표현 식은 다음과 같다. E = {{v1, v2},{v3, v5},{v4, v8},{v4, v9},{v6, v9}} 그래프를 {v1, v2}라고 정의할 시, {v2, v1} 이렇게 역으로도 모두 있다고 가정한다.해당 그래프에서 E의 절대값은 5이며 각 노드들의 경로와 차수도 구할 수 있다.v7과 같은 노드의 경로는 trivial path라고 하며 길이는..
[Algorithm] 점근 표기법
·
CS/알고리즘(Algorithm)
세타 표기법(Theta-Notation) 세타 표기는 상한과 하한을 모두 알고 있을 때 사용하는 표기법이다. 조건식은 다음과 같다. 0 ≤ c1g(n) ≤ f(n) ≤ c2g(n) f(n)을 기준으로 f(n)을 표현하고자 하는 대표값 g(n)을 놓고 보았을 때, g(n)에 어떤 상수를 곱하고 다른 어떤 상수를 곱한 것이 있을 때, f(n)은 반드시 샌드위치처럼 끼어 있어야 한다. 해당 조건식에서 상수는 c1, c2 이다. n이 n0보다 높은 시점에서 f(n)은 항상 c1g(n)보다는 높고 c2g(n)보다는 작다. 이를 'f(n)은 g(n)과 같은 증가속도를 가진다.' 라고 하며 f(n)은 theta of g(n)에 속한다 라고 한다. g(n)은 f(n)의 점근적 상한 및 하한(asymptotically ..
[Algorithm] 선형검색, 이진검색 알고리즘과 점근분석(Linear&Binary search)
·
CS/알고리즘(Algorithm)
선형검색, 이진검색 알고리즘이란? Linear&Binary search는 배열에서 특정한 값을 찾을 때 쓰는 검색 방법이다. 해당 글에서는 변수가 N 하나만 있다고 가정하고 작성할 것이다. 예를 들어 N = [1, 3, 8, 9, 4, 10, 6, 2] 라는 배열이 있다고 가정하겠다. 이 배열에서 나는 10이라는 값을 찾고 싶다. Linear search는 배열의 앞에서부터 value값이 10인지 아닌지 찾는다. 시간복잡도는 O(n)이다. 시간복잡도가 O(n)인 이유는 만약 내가 2라는 값을 찾고 싶다면 처음부터 끝까지 배열을 순회해야 하기 때문이다. Binary search는 배열의 중간값에서부터 시작한다. 우선 Binary search는 배열이 정렬된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N을 오름차순으로 정렬..
[Algorithm] 알고리즘을 배우는 이유
·
CS/알고리즘(Algorithm)
왜 이런게 생겼나요?서로 다른 2개의 알고리즘이 있을 때, 똑같은 문제를 풀 수 있는 2개의 알고리즘이 있다면,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더 빠른가? 라는 문제가 있다고 가설을 세워 보겠다. 기본적인 답은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둘 다 코딩을 해서 어떤 알고리즘이 더 빠른지, 메모리는 얼마나 소비하는지 확인한다. 하지만 프로그래머는 몸값이 비싸고 개인별로 능력치도 상이하다. 때문에 오류발생 가능성이 높기에 최선의 방법이 아니다. 주어진 알고리즘을 수학적으로 분석해서 어떤 알고리즘이 더 좋은지 결론을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글쓴이의 마음가짐대부분의 컴공생이나 개발자는 코딩테스트를 위해 알고리즘을 많이 공부한다. 물론 이것은 필자 또한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알고리즘 공부의 목적을 단순히 코딩테스트..
[자료구조] 트리(Tree) 기본
·
CS/자료구조(data structure)
개요 트리는 노드들의 계층 관계를 표현한 집합체이다. 모양은 침엽수와 같은 나무를 거꾸로 매달아 놓은 것처럼 생겼는데 이제부터 사진들과 함께 알아 볼 것이다. 트리는 종류가 많은데, 해당 글에서는 트리의 정말 기본적인 내용만 다룰 것이다. 규칙 1. 최상위 레벨에 있는 노드는 루트라고 하며 진입 차수가 0이다. 루트 노드는 트리마다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2. 모든 노드는 0, 또는 n개의 자식 노드를 가진다. 3. 모든 노드는 하나 이상의 부모 노드를 가진다. 4. 트리는 level을 가진다. 가장 꼭대기에 있는 루트 노드는 레벨이 0이며 트리의 루트로부터 특정 vertax까지의 경로 길이로 결정된다. 5. 루트 노드로부터 특정 노드까지의 경로는 반드시 1개만 존재한다. 6. 만약 트리가 루트 뿐이..
[자료구조] 스택과 큐를 이용하여 회문 판별 프로그램 만들기(C++)
·
CS/자료구조(data structure)
https://mk-develop.tistory.com/5 [자료구조] 스택(Stack)이란? 개요 Stack 자료구조란 요소들이 후입선출(Last-In First-Out)되는 방식의 자료구조이다. 말 그대로 가장 늦게 들어온 요소가 가장 처음으로 나간다. 구조 스택은 기본적으로 사진 1과 같은 구조를 가 mk-develop.tistory.com https://mk-develop.tistory.com/6 [자료구조] 큐(Queue)란? 개요 큐(Queue)는 선입선출(First-In Firut-Out) 방식의 선형 자료구조이다. 모양은 사람들이 줄을 서있는 모습을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다. 구조 큐는 위의 모양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enqueue : 아이템을 mk-develop.tistory.com 앞서..
[자료구조] 큐(Queue)란?
·
CS/자료구조(data structure)
개요 큐(Queue)는 선입선출(First-In Firut-Out) 방식의 선형 자료구조이다. 모양은 사람들이 줄을 서있는 모습을 생각하면 이해가 편하다. 구조 큐는 위의 모양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enqueue : 아이템을 삽입한다. 아이템 삽입은 rear큐에서 이루어진다. dequeue : 데이터를 삭제한다. front큐에서 이루어진다. operation은 2가지가 있다. front operation은 모든 삭제가 발생하는 큐이다. rear operation은 삽입이 발생한다. 큐는 선형 큐와 원형 큐의 2가지 형태가 있다. 선형 큐 선형큐는 기본적으로 위의 사진으로 표현할 수 있다. 큐가 비어 있을 땐 front와 rear 포인터가 같은 공간을 가르킨다. 선형 큐에는 큰 문제점이 있는데, 이는 이..
[자료구조] 스택(Stack)이란?
·
CS/자료구조(data structure)
개요 Stack 자료구조란 요소들이 후입선출(Last-In First-Out)되는 방식의 자료구조이다. 말 그대로 가장 늦게 들어온 요소가 가장 처음으로 나간다. 구조 스택은 기본적으로 사진 1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아래에서부터 요소가 쌓이며 Top 포인터는 가장 위에 있는 요소를 가르킨다. operation으로는 대표적으로 Push와 Pop이 있다. Push operation은 스택에 아이템을 추가한다. 사진 2는 사진 1에서 5를 push했을 때의 예시 사진이다. Pop operation은 스택에서 아이템을 제거한다. 사진 3은 사진 2에서 5를 pop하는 예시이다. 사진 2와 3에서, Top 포인터가 가르키는 위치는 항상 스택의 맨 위 임을 알 수 있다. 어디에서 사용하는가? 위 사진은 VS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