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레카 2기 종합프로젝트 회고
·
이야기/회고
개요3주간의 유레카 종합 프로젝트가 끝이 났다.이번 프로젝트의 주요 과업은 스트리밍과 이전 대화 내용을 기억하는 요금제 추천 챗봇 구현 이었고 우리 조의 주제는 개인과 가족이 함께 쓸수 있는 LGU+ 요금제 추천 챗봇 및 가족 스페이스 기반 플랫폼 MODi 였다.나는 카카오 로그인과 챗봇 구현 파트를 맡았다.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했던 고민과 구현 과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카카오 로그인카카오 로그인은 최대한 카카오 공식 문서의 flow를 따르려고 했다.카카오 공식 문서에서 권장하는 flow는 다음과 같다.이번 프로젝트에서는 클라이언트를 Next.js, 서버를 Spring boot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Next.js 서비스 서버를 Spring boot로 두고 해당 플로우대로 구현하려고 했다...
2024년 회고
·
이야기/회고
개요2025년이 무려 19일이나 지난 오늘, 좀 늦은 감이 있지만 24년 회고를 하려고 한다. 알고리즘 24년 상반기에 네이버 공채 코딩테스트를 보고 난 후, 알고리즘이 많이 부족함을 느껴서 5개월간 꾸준하게 문제를 풀었다. 23년 회고때는 실버에 머물렀었는데 이렇게 풀다보니 어느새 골드 3에 도달해 있었다. 골드를 처음에 달성했을때는 기분이 정말 좋았었는데 그래프탐색과 백트래킹만 집중적으로 풀어서 찍은 티어라서 물티어라고 생각한다. 현재는 알고리즘 문제를 안푼지 오래되서 감을 많이 잃었다. 역시 꾸준한게 중요하다.. 때문에 다시 꾸준하게 문제를 풀을 예정이다.연구실연구실의 경우 이제 프로젝트의 막바지에 들어가고 있다. 24년에는 "영상데이터 검출객체 색인 구축" 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작성하였다.  연구..
2023년 회고
·
이야기/회고
정말 오랜만에 글을 작성하는 것 같다. 마지막 포스팅 시점으로부터 정말 많은 일을 했기에 글을 쓸 짬이 안났던 것 같다.. 라고 하기엔 그냥 나의 게으름인 것 같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작년 이맘때쯤의 나와 비교했을 때 정말 많은 성장이 있었던 한해였던 것 같다. Github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깃허브를 시작했다. 6월부터 시작해서 6개월을 날린듯한 감이 있지만 이제는 깃허브 없으면 프로젝트 못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깃 사용에 익숙해지려고 노력했다. 잔디를 보면 11월과 12월을 정말 바쁘게 보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때 연구실 프로젝트와 대회 프로젝트까지 일정 내에 완료해야 했기 때문에 정말 노트북을 잡고 살았던 것 같다. Github stat은 B-로 마무리 될 것 같다. 무슨 기준으로..